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"깊은 슬픔을 느낀다"며 애도의 뜻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"미국 국민은 한국 국민과 깊은 우정의 유대를 공유하고 있다"면서 "모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항공 사고 조사를 담당하는 미 국가교통안전위원회, NTSB는 참사 원인 조사를 돕기 위해 미국 조사팀을 이끌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팀에는 참사 여객기 737-800의 제조사인 보잉과 미 연방항공청도 포함됩니다. <br /> <br />여객기의 비행 자료 기록 장치가 일부 손상된 채 수거된 만큼 국내에서 분석이 어려울 때는 NTSB가 해당 조사를 맡게 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외신들은 전문가들을 인용해 착륙 장치와 속도를 줄여주는 장치인 '플랩'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을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르코 찬 / 영국 버킹엄셔 뉴 대학교 항공 운영과 선임 강사 (전직 비행기 조종사) : 착륙 장치가 내려갔을 때 직접 충격을 받았고, 기계 구조가 손상된 영향을 받았을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반면, 착륙 장치를 내리거나 동체 착륙을 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했다며 조종사들과 관제탑 대응이 적절했는지 살펴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데이빗 수시 / CNN 항공 전문가 : 여기서 문제는 재착륙할 시간이 없었고, 착륙 장치가 제대로 내려졌는지 확인할 시간이 없었다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외신들은 정확한 사고 원인이 규명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 2013년 3명이 숨졌던 아시아나 항공의 샌프란시스코 착륙 사고의 경우도 원인 조사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11개월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자막뉴스ㅣ정의진, 고현주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23009085919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